롱보드를 고를 때, 많은 사람들이 가장 먼저 신경 쓰는 것은 디자인과 길이일 것이다.
하지만 진짜 중요한 요소는 바로 ‘데크의 재질’이다.
같은 길이의 롱보드라도 재질에 따라 무게, 탄성, 반응성, 내구성, 피로감까지 전혀 다른 라이딩 경험을 제공한다.
특히 많이 사용되는 세 가지 주요 재질 – 단풍나무(Maple), 대나무(Bamboo), 탄소섬유(Carbon Fiber)는 각기 다른 특징과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각 재질이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어떤 스타일에 적합한지 비교해보고 입문자부터 중급자까지 나에게 맞는 데크 선택 기준을 제안하려 한다.
단풍나무(Maple) – 가장 널리 사용되는 전통적 재질
항목 | 내용 |
밀도 | 높음 (무거운 편) |
반응성 | 안정적이고 단단함 |
내구성 | 높음, 오래 탐 |
플렉스 | 낮거나 없음 (하드한 편) |
가격 | 보통 ~ 저렴한 편 |
단풍나무는 가장 전통적인 롱보드/스케이트보드 데크 재료로, 북미산 하드 메이플(Hard Rock Maple)이 주로 사용된다.
하드한 탄성과 강한 내구성 덕분에 프리스타일, 다운힐, 트릭 중심의 롱보드에 적합하다.
* 그러나 무게가 다소 무겁고, 플렉스가 낮기 때문에 장시간 주행이나 댄싱에는 약간의 부담이 있을 수 있다.
대나무(Bamboo) – 가볍고 유연한 플렉스형 재질
항목 | 내용 |
밀도 | 낮음 (가벼움) |
반응성 | 부드럽고 유연 |
내구성 | 평균 이상, 다만 충격엔 약함 |
플렉스 | 중~강 플렉스 (잘 휘어짐) |
가격 | 보통 ~ 중간 수준 |
대나무는 천연 플렉스가 매우 뛰어나 댄싱과 크루징에 특히 적합하다.
댄싱 롱보드에서 많이 사용하는 Loaded, Moonshine, Bustin 등의 브랜드는 대나무와 유리섬유, 카본 등을 하이브리드로 혼합해 적절한 탄성과 강성을 조절한다.
* 다만, 대나무는단풍나무보다 충격 흡수력이 낮고 내구성은 약간 떨어질 수 있다.
그래서 고난이도 트릭보다는 부드러운 움직임 위주의 스타일에 적합하다.
탄소섬유(Carbon Fiber) – 고가의 하이엔드 퍼포먼스 재질
항목 | 내용 |
밀도 | 낮지만 구조적으로 강함 |
반응성 | 매우 민감하고 즉각적 |
내구성 | 매우 높음 |
플렉스 | 선택적 설계 가능 (탄성과 강성 조절 가능) |
가격 | 고가 (가장 비쌈) |
탄소섬유는 단독으로 사용되기보다 대나무나 단풍나무와 결합된 샌드위치 구조로 많이 사용된다.
특히 프리스타일이나 다운힐과 같이 반응성, 내구성, 속도 제어가 중요한 고성능 스타일에서 선호된다.
대표적인 고급 브랜드 Moonshine, Landyachtz, Prism 등이고속과 퍼포먼스를 위한 데크에 탄소섬유를 채용한다.
* 하지만 가격이 비싸고, 입문자에게는 반응성이 오히려 부담이 될 수 있다.
재질별 비교 정리표
재질 | 무게감 | 반응성 | 내구성 | 플렉스 | 스타일적합도 |
단풍나무 | 무거움 | 안정적 | 매우 강함 | 낮음 | 프리스타일, 다운힐 |
대나무 | 가벼움 | 부드러움 | 보통 | 중~강 | 댄싱, 크루징 |
탄소섬유 | 중간 | 매우 민감 | 매우 강함 | 조절 가능 | 하이엔드 프리스타일, 다운힐 |
내가 선택한 46인치 데크는 어떤 조합인가?
내가 사용하는 46인치 댄싱용 롱보드는 대나무 + 유리섬유 복합 구조로 만들어졌다.
이 덕분에 피벗이나 크로스스텝을 할 때 적당한 탄성과 휘어짐이 느껴져서 초보자에게 안정적인 밸런스를 제공해준다.
* 트릭 연습에서는 반발력이 약간 부족하지만 대신 장시간 주행에서도 피로감이 덜하다.
이처럼 재질은 내 타는 목적에 따라 절대적인 영향을 준다.
입문자에게 추천하는 재질 선택 기준
- ✔ 프리스타일 중심 → 단풍나무 (하드 + 저렴)
- ✔ 댄싱 입문 → 대나무 + 유리섬유 (부드러움 + 탄성)
- ✔ 트릭 + 속도 + 내구성 모두 중요 → 탄소섬유 포함 하이브리드 데크 (단, 고가)
* 재질보다 먼저 자신의 타는 목적과 방향성을 명확히 해야 그에 맞는 데크 재질을 선택할 수 있다.
롱보드 데크의 재질은단순한 디자인 요소가 아니라라이딩 감각 전체를 좌우하는 가장 핵심적인 결정 요소다.
단풍나무의 안정성, 대나무의 부드러움, 탄소섬유의 반응성.
각 재질은 서로 다른 개성을 가지고 타는 사람의 목적에 따라 완전히 다른 경험을 선사한다.
이번 글이 나에게 맞는 재질 선택의 기준이 되기를 바란다.
'롱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롱보드 휠베이스란? – 회전 반경과 안정성의 기준 (0) | 2025.07.04 |
---|---|
킥테일 구조의 차이 – 트릭에 왜 중요한가? (0) | 2025.07.04 |
롱보드 데크의 플렉스란? – 탄성이 주행에 미치는 영향 (0) | 2025.07.03 |
프리스타일 vs 댄싱 롱보드 – 어떤 데크가 당신에게 맞을까? (0) | 2025.07.03 |
롱보드 트럭의 진화 – 리버스 킹핀(RKP)은 왜 탄생했을까? (0) | 2025.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