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7 3

중랑천 구간 난이도별 정리 – 루틴 맞춤 추천 루트

서울에서 롱보드를 탈 수 있는 공간은 많지 않다.그나마 장거리 라이딩과 기술 루틴이 가능한 곳이 중랑천 자전거 도로 및 체육공원 구간이다.하지만 중랑천을 단순히 "길게 뚫려 있는 하천 공간"이라고 생각하면실전 라이딩에서 오히려 좌절감을 느낄 수 있다.왜냐하면 구간마다 지면 상태, 사람 밀도, 공간 폭, 주변 구조물이 전혀 다르기 때문이다.특히 초보자나 루틴 연습 중인 라이더는 구간별 난이도와 루틴 적합성을 미리 알고 연습 장소를 선택해야트릭 실패와 부상 위험 없이 안정적인 발전이 가능하다.이번 글에서는내가 1년 넘게 실제로 중랑천 전 구간을 돌아다니며 체험한 바탕으로 초급, 중급, 고급 루틴별로 추천 구간과 시간대를 정리해본다. 중랑역 ~ 장미터널 구간 - 초급 크루징 추천 루트✔ 위치 특징:중랑역 하류..

롱보드 2025.07.07

보드 세팅별 피로 차이 – 데크 플렉스와 휠 크기의 영향

보드를 타다 보면 누구나 한 번쯤 이런 생각을 한다."왜 똑같은 루틴인데 어떤 날은 쉽게 지치고, 어떤 날은 오랫동안 탈 수 있지?"그 이유는 단순한 체력이나 컨디션 문제가 아니다.보드 세팅에 따라 라이딩 중 쌓이는 근육 피로의 차이가 은근히 크다.특히 데크의 플렉스(유연성)과 휠의 크기/경도는 몸의 반응을 유도하고, 지속적인 긴장과 이완을 유도하는 가장 핵심적인 장비 요소다.이번 글에서는 댄싱 보드를 중심으로 데크 플렉스와 휠 구조가 피로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그리고 루틴별 어떤 세팅이 더 유리한지를 실제 체험과 문헌을 바탕으로 비교해보겠다.데크 플렉스 – 유연성이 줄 수 있는 피로 분산 효과데크 플렉스는 보드 위에서 무릎과 발바닥에 전해지는 진동과 충격을 얼마나 흡수해주는가에 직결된다.플렉스 타입특..

롱보드 2025.07.07

샤빗 vs 노컴플라이 – 회전 트릭 비교 분석과 선택 기준

롱보드 댄싱을 조금 타다 보면 자연스럽게 "이제 트릭을 넣어볼까?"라는 생각이 든다.그때 가장 먼저 등장하는 기술이 바로 노컴플라이(Non-comply)와 샤빗(Shuvit)이다.두 기술 모두 보드의 회전을 다루지만 방식도 다르고, 체감 난이도도 확연히 다르다.겉보기에 비슷해 보이지만, 입문 시점에서 어떤 트릭을 먼저 선택하느냐에 따라 전체 루틴 구성과 기술 습득 흐름이 달라질 수 있다.이번 글에서는 샤빗과 노컴플라이의 구조적 차이, 실패 포인트, 추천 순서, 연계 방법까지 체계적으로 비교해보겠다. 기술 구조 비교 – ‘발을 떼느냐 vs 안 떼느냐’항목샤빗노컴플라이보드 회전 방식앞발로 보드를 튕겨서 180도 회전앞발을 떼고 뒷발로 눌러 회전발의 움직임양발 모두 보드 위에 있음앞발은 보드에서 분리됨몸 회전..

롱보드 202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