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6 3

롱보드 데크의 구조와 재질 – 기술의 성공률을 바꾸는 세팅의 시작

많은 롱보더들이 루틴이나 기술을 연습할 때 ‘몸의 감각’이나 ‘기술 연습 루틴’에는 많은 관심을 쏟는다.하지만 의외로 보드 자체의 구조에 대해서는 크게 고민하지 않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특히 데크(deck) 즉, 우리가 발을 올리고 기술을 수행하는 이 판의 구조와 재질은 단순한 디자인이나 크기 문제가 아니다.기술의 감각과 성공률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핵심 하드웨어다.예를 들어, 동일한 사람이 샤빗(shuvit)을 시도하더라도 플렉스가 높은 데크에서는 보드가 밀려나고, 짧은 데크에선 반응이 과하게 나올 수 있다.즉, 보드의 구조를 모르면 기술이 어려운 게 아니라 보드가 기술을 막고 있는 상황도 생긴다.이번 글에서는 롱보드의 데크가 어떤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재질, 플렉스, 길이, 구조가 각 기술..

롱보드 2025.07.16

롱보드 루틴 영상 촬영 구조

요즘 롱보드 루틴을 연습하는 많은 사람들이 단순히 기술을 익히는 것에서 나아가, 영상을 찍고 공유하고 기록하는 루틴을 함께 한다.하지만 막상 촬영을 시도해 보면 기술은 잘 했는데 구도가 아쉽거나 영상 길이가 어색하거나 흐름이 너무 평면적이라 몰입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다.이유는 간단하다.‘기술’에는 신경을 썼지만, 루틴을 영상으로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에 대한 기획이 부족했기 때문이다.영상으로 남는 루틴은 단순 기술의 나열이 아니라 ‘한 편의 구조 있는 장면’처럼 보여야 한다.이번 글에서는 촬영 위치, 기술 배열, 구간별 구도 설계 등을 포함한 영상 루틴의 구성 전략을 단계별로 정리해보겠다.루틴 영상의 핵심 – 세 구간 구조로 나눠라루틴 영상을 만들기 전,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루틴을 영상 구조..

롱보드 2025.07.16

롱보드 샤빗 감각 훈련 루틴

샤빗(shuvit)은 롱보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트릭 중 하나지만, 동시에 성공률이 낮은 기술로도 악명이 높다.보드만 180도 회전하고, 몸은 그대로 착지하는 단순한 구조처럼 보이지만, 막상 연습을 해보면 보드는 안 돌아가거나 너무 많이 돌고, 착지 타이밍은 맞지 않고 중심은 무너지는 등 생각보다 실패가 많다.특히 입문자나 루틴을 시작하는 중급자에게 샤빗은 이상하게 안 되는 트릭이라는 인식을 남기기 쉽다.하지만 샤빗의 핵심은 단순한 발의 움직임이 아니라✔ 발가락으로 보드를 돌려 보내는 감각,✔ 시선이 회전 방향과 일치하는 구조,✔ 점프 타이밍과 착지 타이밍의 간격 조절같은 섬세한 감각 설계에 있다.이번 글에서는 샤빗 기술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훈련 루틴을 정리해보겠다.단계별 훈련으로 샤빗을 하나의 ..

롱보드 2025.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