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롱보더들이 루틴이나 기술을 연습할 때 ‘몸의 감각’이나 ‘기술 연습 루틴’에는 많은 관심을 쏟는다.
하지만 의외로 보드 자체의 구조에 대해서는 크게 고민하지 않고 넘어가는 경우가 많다.
특히 데크(deck) 즉, 우리가 발을 올리고 기술을 수행하는 이 판의 구조와 재질은 단순한 디자인이나 크기 문제가 아니다.
기술의 감각과 성공률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핵심 하드웨어다.
예를 들어, 동일한 사람이 샤빗(shuvit)을 시도하더라도 플렉스가 높은 데크에서는 보드가 밀려나고, 짧은 데크에선 반응이 과하게 나올 수 있다.
즉, 보드의 구조를 모르면 기술이 어려운 게 아니라 보드가 기술을 막고 있는 상황도 생긴다.
이번 글에서는 롱보드의 데크가 어떤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재질, 플렉스, 길이, 구조가 각 기술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단순 정보가 아니라 루틴 기반 기술 수행의 관점에서 정리해보겠다.
1. 데크의 기본 구조 – 샌드위치 구조와 플라이
1) 플라이(PLY)란?
데크는 얇은 목재 판을 여러 겹 겹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겹을 플라이라고 부르며, 보통 7~9플라이가 일반적이다.
플라이 수가 많을수록 강성은 올라가지만 무게가 증가하며, 반대로 줄이면 더 유연하고 가볍다.
2) 샌드위치 구조
일부 고급 데크는 단풍나무 중심의 플라이 위에 유리섬유 또는 카본층을 외피로 둘러싼 샌드위치 구조를 사용한다.
이 구조는 내구성 + 반발력을 동시에 제공해 댄싱과 트릭을 병행하는 보드에 자주 사용된다.
2. 데크 재질 – 재료가 감각을 만든다
재질 | 특징 | 적합한 기술 |
단풍나무 (메이플) | 강성 높고 반응 빠름 | 샤빗, 피벗, 바디버리얼 등 트릭 |
대나무 (밤부) | 탄성 높고 부드러움 | 크루징, 댄싱, 긴 루틴 흐름 |
카본 복합 | 무게 가볍고 강도 높음 | 고속 주행, 다운힐, 내구성 강조 |
유리섬유 혼합 | 반발력 뛰어나며 탄성 조절 가능 | 루틴 트릭 + 댄싱 복합용 |
실전 팁
- 샤빗을 자주 실패한다면 → 탄성이 너무 높은 대나무 재질보다 메이플 중심이 유리
루틴을 길게 구성할 경우 → 발에 무리가 덜 가는 대나무 중심 구조가 적합
3. 플렉스(Flex) – 기술의 ‘반응 속도’를 결정하는 지표
1) 플렉스란?
데크가 무게를 받았을 때 얼마나 휘는가를 의미하는 값이다.
보통 플렉스 1~5단계로 분류하며, 수치가 높을수록 잘 휘고 부드럽지만, 트릭 시에는 반응성이 낮아질 수 있다.
2) 플렉스에 따른 기술 적합도
플렉스 | 특징 | 기술 적합도 |
낮음 (1~2) | 단단하고 휘지 않음 | 트릭, 회전 계열, 피벗 |
중간 (3) | 적당히 휘며 밸런스 우수 | 루틴 전체용 |
높음 (4~5) | 탄성 강하고 부드러움 | 댄싱, 크루징 위주 |
4. 데크 길이와 폭 – 루틴 스타일을 제한하는 숨은 요소
1) 길이
- 트릭 중심 루틴 → 37~42인치
- 댄싱 루틴 → 44~50인치
- 초보 루틴 구성 → 46인치 이상이 오히려 안정적
예시
내가 처음 선택한 데크는 46인치 (118cm)로, 댄싱에는 적합하지만 샤빗이나 피벗 등 회전계 기술에는 발 중심 이동이 다소 어렵다.
하지만 루틴을 부드럽게 설계하기엔 오히려 안정성이 뛰어나다.
2) 폭
폭이 넓을수록 발 위치 고정에 유리하지만 보드 회전이 느릴 수 있음.
좁은 데크는 반응은 빠르나 착지 난이도 상승.
5. 그 밖의 요소들 – 디테일이 루틴에 미치는 영향
- 킥테일(Kicktail)
끝부분이 위로 올라간 구조. 샤빗, 노컴플라이 등 트릭엔 필수. - 휠 베이스(Wheelbase)
앞뒤 바퀴 사이 거리.
길수록 안정, 짧을수록 회전성 좋음.
그립테이프
미끄럼 방지용. 루틴 중심 사용자는 발이 밀리지 않게 거칠게 처리하는 편이 유리
기술이 자꾸 실패하거나 루틴이 이상하게 흐른다면 그건 내 실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데크 구조와 세팅이 내 기술 흐름과 맞지 않아서일 수 있다.
롱보드에서 데크는 단순한 판이 아니라 기술의 반응을 만들어내는 감각의 베이스다.
길이, 재질, 플렉스, 구조, 킥, 휠베이스, 무게감… 이 모든 요소들이 보드를 조작하는 느낌을 좌우한다.
기술은 몸으로 익히는 것이지만, 그 기술이 제대로 반응하려면 보드가 그 기술을 ‘허용’해줘야 한다.
지금 내가 쓰고 있는 데크는 어떤 재질이며, 어떤 기술에 적합한 구조인가?
그걸 파악하고 세팅을 수정하는 순간, 기술 성공률과 루틴의 자연스러움이 눈에 띄게 달라진다.
'롱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롱보드 루틴 루프 구조 만들기 – 기술을 연결하는 순환의 설계법 (0) | 2025.07.17 |
---|---|
롱보드 트럭 구조 완전 정리 – 루틴 성공률을 바꾸는 세팅의 핵심 (0) | 2025.07.17 |
롱보드 루틴 영상 촬영 구조 (0) | 2025.07.16 |
롱보드 샤빗 감각 훈련 루틴 (0) | 2025.07.16 |
롱보드 루틴 클로징 전략 – 마지막 기술이 루틴의 품격을 만든다 (0) | 2025.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