롱보드

롱보드 루틴 루프 구조 만들기 – 기술을 연결하는 순환의 설계법

zip-note 2025. 7. 17. 21:35

롱보드 루틴을 연습하다 보면, 가장 먼저 부딪히는 벽은 기술의 연결이다.
하나의 기술을 익히는 건 어렵지 않지만, 이를 자연스럽게 이어붙여 루틴을 만드는 건 전혀 다른 문제다.

대부분의 입문자나 중급자는 기술이 이어지지 않고 중간중간 ‘정지’ 상태로 끊기는 루틴을 경험한다.
그리고 루틴을 어떻게 마무리할지도 막막해진다.

이럴 때 가장 유용한 방식이 바로루프 루틴이다.
루프 루틴이란, 루틴의 시작과 끝이 자연스럽게 연결되며 무한 반복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기술 흐름을 말한다.
영상 루틴에서도 자주 쓰이며, 실제 연습 루틴을 설계할 때도 매우 효과적이다.

이번 글에서는
✔ 루틴을 순환형으로 만드는 기술 조합,
✔ 방향과 무게 중심을 기준으로 한 구성법,
✔ 실제 사용 가능한 루프 루틴 예시까지
단순 나열이 아닌 설계 중심 루틴 구성 방법을 정리해보겠다.

보드타는 남성

루프 루틴이란? – 시작과 끝이 이어지는 기술의 고리

루프 루틴은 쉽게 말하면 루틴이 시작된 위치 혹은 상태로기술의 흐름이 다시 돌아오도록 설계된 루틴 구조다.

예:

  • 피터팬 1회 → 샤빗 → 피벗 → 앞방향 피터팬 → 루틴 시작 상태로 복귀 → 다시 피터팬 1회 → 샤빗…

이처럼 하나의 흐름이 ‘닫힌 기술 고리(closed loop)’를 만들며 무한 반복이 가능한 구조로 이어진다.

 

루프 루틴의 장점

항목 장점
구성 단순화 전체 루틴을 반복 가능한 짧은 구성으로 설계 가능
기술 전환 훈련에 효과적 피벗, 리셋, 방향 전환 등 중심 회복 기술을 반복 학습
영상 촬영에 적합 시작과 끝이 이어져 클립 완성도 ↑
지속성 연습 가능 루틴이 끊기지 않아 체력·리듬 훈련에도 효과적

 

루프 루틴 설계의 핵심 3요소

① 방향 전환 기술 포함 여부

루틴을 반복하려면
전/후 방향 전환 기술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

  • 피벗
  • 바디버리얼
  • 프런트 샤빗 (후방 착지) 등

② 중심 회복 기술 포함

루프 루틴은 반복이기 때문에 중심을 회복하는 기술이 루틴 중간에 있어야 흐름이 무너지지 않는다.

  • 롱푸시
  • 정지 루틴
  • 피터팬 리셋 동작

③ 기술 난이도의 간격

루프 루틴은 과도한 난이도 차이를 피해야 한다.
너무 난이도 높은 기술을 중간에 넣으면 전체 루틴이 흐트러지고 루프 구조가 무너지기 쉽다.

 

루프 루틴 설계 예시 ① – 피터팬 중심 루프

구성 예

  1. 피터팬 1회
  2. 정지 1초
  3. 샤빗
  4. 롱푸시
  5. 피벗 (방향 전환)
  6. 피터팬 1회 (반대방향)
    → 다시 1번으로

포인트

  • 중심 이동, 방향 전환, 루틴 재진입 구조가 자연스럽게 연결됨
  • 루틴 초보자도 반복 연습에 적합

 

루프 루틴 설계 예시 ② – 바디버리얼 + 피벗 루프

구성 예

  1. 롱푸시 1회
  2. 바디버리얼
  3. 정지 루틴
  4. 샤빗
  5. 피벗
  6. 바디버리얼 (반복)

포인트

  • 몸 회전과 보드 회전이 번갈아 반복됨
  • 영상 루틴용으로 리듬감 있게 편성 가능
  • 샤빗과 피벗 사이 정지 루틴을 삽입해야 중심 회복됨

 

루프 루틴 설계 시 흔한 실수

실수 유형 해결 방법
루틴이 중간에 끊김 방향 전환 기술 생략 여부 확인
루틴이 무거워짐 기술 간 쉬는 타이밍 삽입 (정지 루틴 등)
방향이 바뀌지 않음 피벗 or 바디버리얼 꼭 포함할 것
루틴이 너무 단순함 6기술 이상 루프는 시청자 피로 유발 → 4~5기술 적정

 

루프 루틴을 영상 콘텐츠로 활용하는 방법

  • 영상 시작점과 끝을 같은 위치로 만들면
    편집 없이도 ‘완성된 루틴 영상’ 느낌을 줄 수 있음
  • 루프 구조의 루틴은
    IG 릴스, 유튜브 쇼츠, 블로그 콘텐츠에서도
    반복 시청 유도 요소로 작용해 SEO에도 긍정적

 

기술 하나하나를 잘 하는 것보다, 기술을 어떻게 이어붙이고 그 흐름을 반복 가능하게 설계하느냐가 루틴의 완성도를 결정짓는다.

루프 루틴은 단순하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정된 루틴을 만들 수 있는 방식이다.
특히 루틴 연습을 시작한 입문자나 기술 간 연결에 어려움을 겪는 중급자에게 연결 감각과 중심 회복을 동시에 훈련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설계법이다.

기술은 배웠다면, 이제는 그 기술을 흐름으로 묶는 설계자가 되어야 한다.

루프 루틴을 설계하고, 그 흐름을 몸에 익히는 순간 비로소 기술이 아닌 ‘루틴’의 즐거움을 알게 된다.